다채로운 관광지, 체험, 풍성한 먹거리가 있는 예산입니다.
수덕사는 덕숭산에 자리잡고 있는 절로, 절에 남겨진 기록에는 백제 후기 숭제법사가 처음 짓고 고려 공민왕 때 나옹이 다시 고친 것으로 기록되어 있고, 또 다른 기록에는 백제 법왕 1년(599)에 지명법사가 짓고 원효 가 다시 고쳤다고도 전한다. 석가모니불상을 모셔 놓은 대웅전은 1936년에서 1940년에 걸친 중수시 대들보에서 나온 묵서에 의하여 고려 충렬왕 34년(1308)에 건립되었음이 밝혀진 건물로, 건축연대를 정확하게 알 수 있으며 봉정사 극락전, 부석사 무량수전과 함께 대표적인 고려시대 목조건축물이다. 앞면 3칸·옆면 4칸 크기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을 하고 있으며 기둥의 중간부분이 부풀려진 배흘림 기둥위에만 공포를 올린 주심포 계통의 건물로 간단한 공포구조와 측면에 보이는 부재들의 아름다운 곡선은 대웅전의 건축미를 더욱 돋보이게 하는데 특히, 소꼬리 모양의 우리량은 그중 백미로 꼽으며 연등천장과 노출된 가구에 새로 단청을 입히지 않은 백제적 곡선을 보여주는 유일한 목조건축물로 앞면 3칸에는 모두 3짝 빗살문을 달았고 뒷면에는 양쪽에 창을, 가운데에는 널문을 두었다. 대웅전은 백제 계통의 목조건축 양식을 이은 고려시대 건물로 특히 건물 옆면의 장식적인 요소가 매우 아름답다. 또한 건립연대가 분명하고 조형미가 뛰어나 한국 목조건축사에서 매우 중요한 문화재로 평가 받고 있다.